부모 진단 프로그램은 아이들이 가지고 태어난 창의력의 씨앗이 부모로부터 물려받는다는 사실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지니고 있는 창의력의 씨앗이 그 싹을 잘 틔우고 줄기를 튼튼하게 하여 꽃을 탐스럽게 피워서 아름다운 열매까지 맺을 수 있을까?
부모들이 보여 주고 있는 자녀들에 대한 양육 방법과 태도를 살펴보면 아이의 재능과 성격을 알 수 있다. 부모 진단 프로그램은 개개인이 간직하고 있는 폭넓고 잠재적인 능력을 개발하려는 교육적인 목적에서 고안되었다. 부모와 연계하여 아이의 능력을 키워 주는 일대일 맞춤형 교육과 출구 전략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다.
01 확고하고 일방적인 통제를 하는 권위적인 유형
02 부모보다는 친구에 가까운 역할을 하는 자유방임형
03 권위에 무조건 복종해야 하는 권위주의적인 유형
04 자녀와 교류가 없는 무관심형
본인들은 잘 모르지만 대부분의 부모는 확고하고 일방적인 통제를 습관적으로 하는 권위적인 유형인 경우가 많다. 이 유형의 부모는 자신이 부모라는 위치를 잃지 않으면서 서로의 욕구가 충돌할 때, 자녀와 함께 문제를 해결한다. 즉, 표현을 할 때는 하고, 훈계가 필요할 때는 생각을 그대로 표현하는 부모 유형이다. 이 유형의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는 사리 분별력이 있고, 누군가에게 인정을 받음으로써 자신감이 생기는 특성이 있다.
부모보다는 친구에 가까운 역할을 하는 자유방임형 부모는 엄격함은 가지고 있지만 부모의 감정과 의사를 행동으로 보여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아이의 요구를 대부분 들어주는 부모 유형이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이 유형의 부모가 가장 좋다고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책임을 회피하고, 버릇이 없고, 과도하게 의존적인 아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과거의 어른들은 권위에 무조건 복종해야 하는 권위주의적인 유형의 부모가 대부분이었다. 자신의 말은 곧 법이고, 누구도 그 말에 이유를 달아서는 안 되는 그런 부모 유형이다. 이 유형의 부모는 사랑을 거의 표현하지 않으며, 칭찬도 인색하고 엄격하기만 하다. 자녀가 잘못을 하면 바로 지적하고 벌을 주기도 한다.
부모는 자녀를 바른 길로 인도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아이는 죄책감으로 위축되기도 하고, 지나치게 순종적으로 될 수 있다.
자녀와 교류가 없는 무관심형 부모는 맞벌이 부부에게서 자주 볼 수 있는 부모 유형이다. 아이에게 애정을 표현하지도 않고, 아무런 감정을 가지지 않는 부모가 여기에 해당한다. 아이에게 칭찬도 하지 않고, 벌도 주지 않는다. 단지 아이가 자기 마음에 들지 않으면 비난만 하고 아이를 불신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아이는 부모에 대한 적대감과 불신을 갖게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 세상의 모든 부모들의 자녀 양육에는 정답이 없다. 창의력의 씨앗이 부모로부터 유전되듯이 아이들의 성격도 부모로부터 물려받는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부모가 아이 입장에 서서 어떤 부모 유형이 자신에게 가장 잘 맞을지를 생각해 보고 행동한다면 아이는 얼마든지 자신의 재주에 맞는 삶을 살아갈 수 있다.